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3가지 질문 드립니다.
바쁘실텐데 너무 죄송합니다.

1. 질문 : 탑다운공사 시 주변 흙막이를 (주열식이나 , 슬러리월 ) 사용하면 지하층 을 만들기위해 띠장(H빔)을 설치 할때
슬러리 월(콘크리트)은 인데 띠장은 철재(H빔) 입니다
슬러리월(주열식흙막이수도있음) 에 띠장을 정착 고정시켜야만 지하층 슬라브 안전하게 이어나가서 공사를 할수 있을 거 같습니다
슬러리월 벽에 띠장을 락볼트 같은 것으로 고정시키는 건가요 아니면 다울바 같은 개념으로 슬러리월 철근삽입시 철재판을
피복면에 붙여 타설하여 해당면에 헌치등 을 만들어서 H빔을 용접하여 띠장을 설치하는지
또한 고정된 해당 부분의 띠장의 안정성을 확인 하기 위한 어떠한
시험등을 현장에서 하는지요? 예: (용접시 자분탐상이나 락볼트사용시 인장력 시험이나)
슬러리월(주열식흙막이) 서로 이질 자재이기 때문에 띠장과 슬러리월의 정착이 부분이 궁금합니다.
2.
탑다운 공법시 심초 기초를 설치시 해당 심초기초 콘크리트 타설전에 지내력을 확인해야 할거 같습니다. 탑다운공법시 지내력시험 을 H빔에 정재하를 걸어서 확인하는건가요?
(종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해당 부분의 수평철근의 겹침이음 이 없음으로 인한 토압으로인한 크랙여부 취약성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